태풍 아그네스 (1957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풍 아그네스 (1957년)는 1957년에 발생하여 한반도에 상륙한 태풍이다. 여수에서 971.8hPa의 최저해면기압이 관측되었고, 부산에서 최대순간풍속 31.1m/s가 기록되었다. 강릉에서 일최다강수량 85.2mm, 총 강수량 136.0mm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7년 8월 - 제2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제2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는 1956년 8월 종파사건 이후 치러졌으며, 조선로동당이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어 215석 중 178석을 차지했다. - 1957년 8월 - 말레이시아 독립기념일
말레이시아 독립기념일은 1957년 8월 31일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날을 기념하는 국경일이며, 툰쿠 압둘 라만 초대 총리가 독립을 주도하고 쿠알라룸푸르에서 독립 선언식이 거행되었다. - 대한민국의 태풍 - 태풍 볼라벤 (2012년)
2012년 태풍 볼라벤은 마리아나 제도에서 발생하여 오키나와를 거쳐 한반도를 관통하면서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 막대한 피해를 입힌 강력한 열대 저기압으로, 라오스의 볼라웬 고원을 의미하는 이름이다. - 대한민국의 태풍 - 태풍 에위니아 (2006년)
태풍 에위니아 (2006년)는 2006년 7월에 발생하여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 피해를 주고 전라남도 진도군 해안에 상륙하여 강원도 홍천군 부근에서 소멸했으며, 대한민국에서 40명이 사망하고 1조 8344억 원의 재산 피해를 발생시킨 태풍이다. - 태풍에 관한 - 태풍 볼라벤 (2012년)
2012년 태풍 볼라벤은 마리아나 제도에서 발생하여 오키나와를 거쳐 한반도를 관통하면서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 막대한 피해를 입힌 강력한 열대 저기압으로, 라오스의 볼라웬 고원을 의미하는 이름이다. - 태풍에 관한 - 태풍 루사
태풍 루사는 2002년 대한민국에 상륙하여 기록적인 강수량과 강풍으로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입히고, 이후 태풍 이름이 폐기된 대형 태풍이다.
태풍 아그네스 (1957년) | |
---|---|
태풍 정보 | |
종류 | 열대 |
해역 | 북서태평양 |
![]() | |
태풍 이름 | 195707 아그네스 (AGNES) |
발생일 | 8월 13일 |
소멸일 | 8월 22일 |
최저 기압 | 905 |
1분 최대 풍속 | 135 |
최대 강풍 반경 (KMA) | 390 |
태풍 사망자 | 11명 |
2. 발생과 진로
태풍 아그네스는 8월 13일 얍 섬 북서쪽 해상에서 발생하여, 8월 18일에는 SSHWS "4등급 슈퍼 태풍"으로 발달했다.[1] 8월 21일 한반도 남해안에 상륙했을 때는 중심기압 965hPa로, 당시 한반도에서는 보기 드문 강한 세력이었다.[1]
부산에서는 강한 바람이 불면서 최대순간풍속 38.3m/s가 관측되기도 했다. 강수량은 상대적으로 적어, 태풍 영향 기간(8월 19일~22일) 동안 강릉 지역의 강수량이 136.0mm에 그쳤다.[1]
순위 | 태풍 번호 | 태풍 이름 | 상륙 시(직전) 중심 기압 | 상륙 지점 |
---|---|---|---|---|
1위 | 5914* | 사라 | 942 hPa | 경남 거제도 |
2위 | 0314 | 매미 | 950 hPa | 경남 고성군 부근 |
2위 | 2009 | 마이삭 | 950 hPa | 부산광역시 부근 |
4위 | 2010 | 하이선 | 955 hPa | 울산광역시 부근 |
4위 | 2211 | 힌남노 | 955 hPa | 부산광역시 부근 |
6위 | 0014 | 사오마이 | 959 hPa | 경남 고성군 부근 |
7위 | 0215 | 루사 | 960 hPa | 전남 고흥군 |
8위 | 9503 | 페이 | 960 hPa | 남해도 |
9위 | 1216 | 산바 | 965 hPa | 남해도 |
9위 | 8613 | 베라 | 965 hPa | 충남 보령시 부근 |
9위 | 5707 | 아그네스 | 965 hPa | 경남 사천시 부근 |
※비고 | * JTWC 해석의 한반도 상륙 태풍. | |||
통영에서의 실측치. |
2. 1. 발생 초기
태풍 아그네스는 8월 13일 오후 9시 얍 섬 북서쪽 약 30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했다.[1] 이후 빠르게 세력을 키워 8월 18일에는 중심기압 905hPa, 1분 최대풍속 135KT(70m/s)의 SSHWS "4등급 슈퍼 태풍"으로 발달했다.[1] 8월 21일 오전 한반도 남해안 상륙 당시 중심기압은 약 965hPa로, 당시 한반도에서는 드문 세력이었다.[1]2. 2. 한반도 상륙
태풍 아그네스는 8월 21일 오전에 중심기압 965hPa의 세력으로 경상남도 사천시 부근에 상륙하였다. 당시 한반도로서는 드문 세력이었다.[1]부산에서는 최대풍속 31.1m/s, 최대순간풍속 38.3m/s가 관측될 정도로 강한 바람이 불었다. 그러나 강수량은 상대적으로 적었는데, 한반도가 태풍의 영향권에 있었던 8월 19일부터 22일까지 총 4일 동안 강릉 지역의 강수량조차 136.0mm에 불과했다.[1]
순위 | 태풍 번호 | 태풍 이름 | 상륙 시(직전) 중심 기압 | 상륙 지점 |
---|---|---|---|---|
1위 | 5914* | 사라 | 942 hPa | 경남 거제도 |
2위 | 0314 | 매미 | 950 hPa | 경남 고성군 부근 |
2위 | 2009 | 마이삭 | 950 hPa | 부산광역시 부근 |
4위 | 2010 | 하이선 | 955 hPa | 울산광역시 부근 |
4위 | 2211 | 힌남노 | 955 hPa | 부산광역시 부근 |
6위 | 0014 | 사오마이 | 959 hPa | 경남 고성군 부근 |
7위 | 0215 | 루사 | 960 hPa | 전남 고흥군 |
8위 | 9503 | 페이 | 960 hPa | 남해도 |
9위 | 1216 | 산바 | 965 hPa | 남해도 |
9위 | 8613 | 베라 | 965 hPa | 충남 보령시 부근 |
9위 | 5707 | 아그네스 | 965 hPa | 경남 사천시 부근 |
※비고 | * JTWC 해석의 한반도 상륙 태풍. | |||
통영에서의 실측치. |
태풍 아그네스는 한반도에 상륙했을 때 중심기압이 약 965hPa로, 당시 한반도에서는 드문 세력이었다.[1] 부산에서는 최대순간풍속 38.3m/s가 관측될 정도로 강한 바람이 불었다.[1] 그러나 강수량은 상대적으로 적어, 태풍의 영향 기간이 4일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강릉 지역의 총 강수량이 136.0mm에 그쳤다.[1]
3. 주요 관측값
순위 태풍 번호 태풍 이름 상륙 시(직전) 중심 기압 상륙 지점 1위 5914* 사라 942 hPa 경남 거제도 2위 0314 매미 950 hPa 경남 고성군 부근 2위 2009 마이삭 950 hPa 부산광역시 부근 4위 2010 하이선 955 hPa 울산광역시 부근 4위 2211 힌남노 955 hPa 부산광역시 부근 6위 0014 사오마이 959 hPa 경남 고성군 부근 7위 0215 루사 960 hPa 전남 고흥군 8위 9503 페이 960 hPa 남해도 9위 1216 산바 965 hPa 남해도 9위 8613 베라 965 hPa 충남 보령시 부근 9위 5707 아그네스 965 hPa 경남 사천시 부근 ※비고 *JTWC 해석의 한반도 상륙 태풍. 통영에서의 실측치.
3. 1. 최저해면기압
지역 | 최저 해면 기압 |
---|---|
여수 | 971.8hPa[1] |
대구 | 972.0hPa |
추풍령 | 976.7hPa |
강릉 | 976.9hPa |
3. 2. 최대풍속
지역 | 최대풍속 |
---|---|
부산 | 31.1m/s[1] |
울릉도 | 30m/s |
여수 | 25m/s |
포항 | 23.3m/s |
3. 3. 강수량
4. 기록
태풍 아그네스는 1957년 8월 21일 경상남도 사천 부근에 상륙했을 때 중심기압이 965hPa로 기록되었다.[1] 이는 대한민국에 상륙한 태풍 중 중심기압 기준으로 9위에 해당하며, 당시 한반도로서는 드문 세력이었다.[1]
4. 1. 대한민국 상륙 태풍 순위
순위 | 태풍 번호 | 태풍 이름 | 상륙 시(직전) 중심 기압 | 상륙 지점 |
---|---|---|---|---|
1위 | 5914* | 사라 | 942 hPa | 경남 거제도 |
2위 | 0314 | 매미 | 950 hPa | 경남 고성군 부근 |
2위 | 2009 | 마이삭 | 950 hPa | 부산광역시 부근 |
4위 | 2010 | 하이선 | 955 hPa | 울산광역시 부근 |
4위 | 2211 | 힌남노 | 955 hPa | 부산광역시 부근 |
6위 | 0014 | 사오마이 | 959 hPa | 경남 고성군 부근 |
7위 | 0215 | 루사 | 960 hPa | 전남 고흥군 |
8위 | 9503 | 페이 | 960 hPa | 남해도 |
9위 | 1216 | 산바 | 965 hPa | 남해도 |
9위 | 8613 | 베라 | 965 hPa | 충남 보령시 부근 |
9위 | 5707 | 아그네스 | 965 hPa | 경상남도 사천 부근 |
※비고 | *JTWC 해석의 한반도 상륙 태풍. | |||
통영에서의 실측치. |
태풍 아그네스는 1957년 8월 21일 경상남도 사천 부근에 상륙했을 때 중심기압이 965hPa로 기록되어, 대한민국에 상륙한 태풍 중 중심기압 기준으로 9위를 기록했다.[1] 이는 당시 한반도로서는 드문 세력이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